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이클립스 알고리즘 세팅
- 백준 10951번 c++
- 백준 10951번
- 백준 1000번 java
- 백준 10951번 java
- 백준 10951번 c
- 백준10950번 c++
- 펭수 달력
- 백준 알고리즘
- 지진
- nodejs
- 오라클
- 백준 1000번 c++
- JavaScript
- 2020 펭수 달력
- 백준 10950번 java
- 자바스크립트
- 포항 지진
- 백준 1000번
- 이클립스 알고리즘 환경
- Eclipse Althrithm
- RETURN ROW IF NO DATA FOUND
- 펭수 2020 달력
- 배열 복사
- 티스토리 초대장
- oracle
- 티스토리 초대장 이벤트
- 백준 1000번 c
- 백준 10950번 c
- 백준 10950번
- Today
- Total
목록개발/NodeJS (4)
스노우보드 참 좋아하는데 맨날 키보드 앞에만 있네
Winston 모듈로 만드는 Logger 기본적으로 자바스크립트에서는 console 객체의 log(), error() 메서드 등으로 로그를 출력할 수 있다.그런데 프로그램 크기가 커지면, 로그의 양도 많아지고, 로그를 보관했다가 이후 확인할 일이 생기기도 한다.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로그를 남기기 위해 외부의 다양한 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오늘은 그 중 Winston으로 로거를 만들어서 로그를 남겨보자.** 로거 (Logger) : 로그를 출력하는 객체 winstonwinston은 multiple transports를 지원하는 비동기 로깅 라이브러리다.** transports : 속성 값으로 설정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로그가 기록되는 저장소를 말한다. winston은 로그를 파일로 저장하면서, 동..
MongoDB 실행, 데이터베이스 생성/제거, Collection 생성/제거 오늘은 MongoDB를 실행하고, 데이터베이스와 Collection을 생성한 후 제거해보았다. noSQL이기 때문에 기존 SQL을 사용하여 생성하던 방식과 차이가 있다. 서버 실행 및 접속 먼저 MongoDB 서버를 실행한다. 터미널을 켜서 'mongod' 명령어를 입력하여 서버를 실행한다. 서버가 실행되면서 pid, port번호, dbpath가 출력된다. $ mongod MongoDB starting : pid=1234 port=12345 dbpath=/data/db 64-bit host=username.local 'mongo' 명령어를 입력하여 서버에 접속한다. url서버 url과 서버 버전이 표기된다. $ mongo Mon..
OSX에 Homebrew를 이용하여 MongoDB를 설치해보자 1. Homebrew 설치 MongoDB를 설치하기에 앞서 OSX 용 패키지 관리자인 Homebrew를 설치한다.Homebrew는 설치되는 패키지들을 기본적으로 usr/local/Cellar 디렉토리에서 관리하는데, 설정 시 개별적으로 찾아볼 필요가 없어 상당히 편리하다.터미널에서 ruby와 curl을 이용해 설치를 진행할 수 있다.https://brew.sh/index_ko.html 에 접속하여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확인 후 터미널에 입력한다. /usr/bin/ruby -e "$(curl -fsSL https://raw.githubusercontent.com/Homebrew/install/master/install)" 아래와 같이 출력되면서..
비동기 프로그래밍 NodeJS를 오늘 처음 공부하기 시작했는데, 비동기 프로그래밍이란 용어가 나와서 정리해본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은 발생하는 작업들을 중앙 서버에서 처리한다.이 서버는 Web을 위한 HTTP서버, 소켓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서버 등이 있다.이러한 중앙집중형태의 서버는 항상 작업처리 성능을 주시해야한다.왜냐하면 클라이언트 요청이 많을 경우 서버에서 병목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이 병목 현상은 대부분 입출력(IO)에서 발생하는데, 처리 지연으로 인하여 다른 요청을 처리하지 못하면, 계속 대기해야한다.그래서 대부분의 서버 플랫폼들은 사용자 요청을 쓰레드로 처리하고 있다. Multi-Thread 방식과 한계 Multi-Thread 방식은 서버에서 요청하는 작업을 쓰레드에서 병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