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백준 10951번 c
- 이클립스 알고리즘 세팅
- 백준 알고리즘
- 배열 복사
- 백준 10951번 java
- 오라클
- 백준10950번 c++
- 2020 펭수 달력
- 포항 지진
- 펭수 2020 달력
- JavaScript
- 백준 10951번
- 백준 1000번
- 지진
- 백준 10951번 c++
- 티스토리 초대장
- 이클립스 알고리즘 환경
- 백준 1000번 c++
- RETURN ROW IF NO DATA FOUND
- 티스토리 초대장 이벤트
- 백준 10950번 java
- nodejs
- 백준 10950번 c
- 자바스크립트
- Eclipse Althrithm
- 펭수 달력
- oracle
- 백준 1000번 java
- 백준 1000번 c
- 백준 10950번
- Today
- Total
스노우보드 참 좋아하는데 맨날 키보드 앞에만 있네
web.xml 이란? web.xml 파일은 웹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웹 컴포넌트에 대한 구성 및 배치 정보를 제공하며, 웹 어플리케이션의 배포서술자(Deployment Descriptor ; DD) 역할을 하는 XML 형식의 파일이다. 더 쉽게 설명하면,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서블릿 클래스를 사용하려면, 설치 뿐만 아니라, 웹 프로젝트 상에서 등록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서블릿 클래스를 등록하는 곳을 배포서술자(Deployment Descriptor ; DD)라고 하며, 이 역할을 web.xml 파일에서 한다. 다음은 왜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배포서술자를 사용하는지에 대한 설명이다. 1. 컨테이너 호환성 유지 웹 어플리케이션의 배포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서로 다른 컨테이너에서도 별도의 설정 없이 동일..
이클립스에서 톰캣을 실행할때마다 포트 충돌이 발생하였다. 톰캣에서 설정한 포트번호는 8080이고, CMD에서 추적해보니 ORACLE에서 이미 8080 포트번호를 사용하고 있었다. 구글링을 해보니 다음과 같은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Oracle XE uses the embedded http listener that comes with the XML DB (XDB) to serve http requests. The default port for HTTP access is 8080. 오라클 XE에서 임베디드 http리스너를 사용하여 http요청을 처리하는데, http 액세스의 기본 포트값이 8080으로 되어 있기 때문. 따라서 ORACLE의 포트번호를 변경해주면 해결할 수 있다. 톰캣 포트번호를 변경해주고..
하루 전에 결정한 파리여행 정말로 와버렸다. 밤 12시에 비행기 티켓과 숙소예약을 끝내고, 5시에 집에서 출발. 10:30 비행기 탑승 ! 여행이 이렇게 쉽습니다 ... 큰 일정만 있는 상태로 세부일정은 오늘 밤 숙소에서 정하기로 했다. 1일차 일정 집 - 인천공항 - Finnair 비행기 - 핀란드 반타공항 경유 - 프랑스 샤를드골 공항 - 파리 숙소 현재 핀란드 반타공항에서 환승비행기를 기다리며, 맥북중이다. - 핀에어 항공사 비행기는 처음인데, 깔끔하고 좌석이 넓다. 유럽갈때 또 타야지. - 기내식을 먹으면 꼭 소화가 안된다. - 경유시간을 기다리는건 역시나 지루하다 - 잠을 안자고 나왔더니 너무 졸립다 - 까르네 어떻게 구입하지? 숙소 도착해서 포스팅을 마무리 해야겠다.